1. ACC (Area Control Centre or Area Control)*지역관제소
2. ADF (Automatic Direction-finding Equipment)*자동방향탐지장치
3. AFIS (Aerodrome Flight Information Service)
4. AGL (Above Ground Level)*연직높이
5. AIP (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)*항공정보간행물
6. AIRAC (Aeronautical Information Regulation and Control)*항공정보관리절차
7. AIS (Aeronautical Information Services)
8. AMSL (Above Mean Sea Level)*해면고도
9. ATC (Air Traffic Control)
10. ATIS (Automatic Terminal Information Service)*비행정보방송업무
11. ATS (Air Traffic Services)*항공교통업무
: 항공기 상호간 충돌방지, 비행장 주변공역 내에 장애물과 항공기 충돌방지, 항공교통의 질서있는 흐름의 유지 및 촉진,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에 유용한 조언 및 정보의 제공, 항공기 조난 등 긴급사태 발생 시 관제기관에 대한 연락 및 필요한 원조 제공, 항공교통관제업무, 비행정보업무, 경보업무를 포함
12. ATZ (Aerodrome Traffic Zone)
13. CAVOK (Visibility, Cloud and Present weather better than prescribed values or conditions)*케이보케이
14. CTR (Control Zone)*관제지대
15. DME (Distance Measuring Equipment)
16. EET (Estimated Elapsed Time)
17. ETA (Estimated time of Arrival or Estimating Arrival)
18. FIC (Flight Information Centre)*비행정보센터
19. FIR (Flgiht Information Region)*비행정보구역
20. FIS (Flight Information Service)*비행정보업무
: ATIS(비행정보방송업무), AEIS(항공로정보제공업무), VOLMET 등
21. GCA (Grond controlled approach system or Ground controlled approach)*지상관제진입시스템
:지상 레이더와 대공 통신설비에 의해 직선거리 22km 부근에서 부터 음성으로 지시하여 레이더로 유도하는 착륙시스템
22. H24 (Continuous day and night service)
23. HF (High Frequency 3 to 30 Mhz)*고주파
: 전리층 반사로 장거리통신에 이용
24. IFR (Instrument Flight Rules)*계기비행방식
: 항공기와 지형등의 상호관계를 대조하지 않고, 비행자세, 비행지점, 항로 등을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거나 착륙하는 방식
25. ILS (Instrument Landing System)*계기착륙방식
26. IMC (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)
27. INS (Inertial navigation System)*관성항법장치
: 복수의 자이로와 가속도계를 조합하여 항공기의 위치나 자세 등의 항법정보를 얻는 장치
28. LORAN (Long Range Air Navigation System)*로란
: 펄스전파를 이용하는 쌍곡선 항법
29. MET (Meteorological or Meteorology)
30. MNPS (Minimum navigation performance specifications)
31. NDB (Non-directional radio beacon)*무지향성 무선표지
: 무지향성의 전파를 공간에 발사하여 항공기에 NDB국의 위치, 방위를 알려준다.
32. NIL (None or I have nothing to send you)
33. NOTAM (Notice to Airmen)*항공고시보
: 안전운항을 위한 항공정보로 SNOWTAM, ASHTAM 등의 종류도 있다. 단기 및 돌발사항의 CLASS 1과 장기적사항의 CALSS 2로 분류한다.
34. PAPI (Precision Approach Path Indicator)*정밀진입경로지시등
35. QFE (Atmosphere pressure at aerodrome elevation or at runway threshold)*현지기압
36. QNH (Altimeter sub-scale setting to obtain elevation when on the ground)*고도계수정치
: QFE에 ICAO 표준대기 값을 적용하여 해면갱정한 값
37. RCC (Rescue coordination centre)*구조조정본부
38. RNAV (Area Navigation)*지역항법
39. RVR (Runway Visual Range)*활주로가시거리
: 활주로의 중심선상에 있는 항공기의 조종사가 활주로의 표면표시나 활주로를 나타내는 등화 또는 중심선을 식별할 수 있는 거리
40. SELCAL (Selective Calling System)*선택호출방식
41. SIGMET(Significant Meteorological Information)*위험기상정보
: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현상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에 발표하는 정보
42. SSR (Secondary Surveillance Radar)*2차감시레이더
43. SST (Supersonic Transport)*초음속여객기
44. STAR (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)
45. TACAN (UHF Tactical Air Navigation Aid)*타칸
: 항공기와 지상국의 상대적인 방위와 거리를 알려준다.
46. TAF (Aerodrome Forecast)*비행장예보
47. TMA (Terminal Control Area)*국지관제구역
48. UHF (Ultra-high Frequency 300 to 3,000MHz)*극초단파
: 도달범위는 제한되지만 많은 채널을 가질 수 있다.
49. UIR (Upper Flight Information Region)*고고도 비행정보구역
50. UTA (Upper Control Area)*고고도 관제구역
51. UTC (Coordinated Universial Time)*국제표준시
: Zulu time 이라고 부른다.
52. VASIS (Visual Approach Slope Indicator System)*바시스
: 진입각 지시등
53. VDF (Very High Frequency Direction-finding Station)*초단파 방향탐지 무선국
54. VFR (Visual Flight Rules)*유시계비행방식
: 계기에 의하지 않고 조종사가 직접 눈으로 보며 비행하는 방식
55. VHF (Very high Frequency 30 to 300MHz)*초단파
56. VMC (Visual Meteorological Conditions)*시계비행조건
57. VOLMET*볼멧
: 국제선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운항에 필요한 항공기상통보로 주요 비행장의 일기 개황 및 예보를 말한다.
58. VOR (VHF omnidirectional radio range)*초단파 전방향식 무선표지
59. VORTAC (VOR and TACAN combination)*보르택
'Aeronautics > 항공교통관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밀접근레이더(PAR)를 이용한 정밀접근방식 (0) | 2014.02.18 |
---|---|
기록에 사용되는 관제부호(Control Symbology)와 약어 (0) | 2014.02.12 |
관제절차약어 - (6) (0) | 2014.02.04 |
관제절차약어 - (5) (0) | 2014.01.27 |
관제절차약어 - (4) (0) | 2014.01.24 |